북러 무기거래 현장 지목된 라진항…"컨테이너 더미 또 쌓였다"

17일 라진항을 촬영한 위성사진. 북한 전용 부두에서 약 90m 길이로 놓인 컨테이너 더미(아래 원 안)가 포착된 가운데 중국 전용 부두에서도 컨테이너 더미(위)가 보인다. 사진 VOA, Planet Labs
미국 백악관이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 현장으로 지목한 함북 나선시 나진항에서 지속적으로 컨테이너 더미가 포착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19일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미국 민간 위성기업 플래닛 랩스가 지난 17일 나진항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길이 약 90m 파란색으로 식별된 직사각형 대형 물체가 부두에 쌓여 있는 것을 확인했다.
나진항은 백악관이 러시아로 가는 북한의 무기가 선적되는 장소로 지목했던 곳이다. 백악관은 지난 13일 “최근 몇 주 동안 북한은 러시아에 컨테이너 1000개 이상 분량의 군사 장비와 탄약을 제공했다”고 밝히며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이어 나진항 내 중국 전용 부두에서도 컨테이너 더미가 쌓인 모습이 확인됐다. 조만간 러시아 선박이 이곳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해 러시아 항구로 옮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라진항의 북한 전용 부두 바로 옆 중국 전용 부두에도 컨테이너 더미가 쌓인 모습이 관측됐다.
나진항에는 북한, 중국, 러시아가 각각 전용으로 사용하는 부두가 총 3개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중국 전용 부두에도 지난 16일과 17일 컨테이너로 보이는 물체가 놓여있었다.

RUSI 보고서에 실린 지난 10월 10일과 11일 플래닛 랩스의 고화질 위성사진. 북한 전용 부두(아래)와 중국 전용 부두에서 선적 작업에 한창인 선박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 선박은 러시아 선적의 마리아호. 사진 VOA, Planet Labs 캡처
이 물체는 길이가 115m로 측정됐으며, 지난 13일∼16일 사이 중국 전용 부두에 적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엔 안보리는 결의 1718호 등 다수의 대북 결의를 통해 북한의 무기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미국 정부도 대통령 행정명령 등을 근거로 북한과 무기 거래를 하거나 무기 분야에서 협력한 개인과 기관 등에 독자 제재를 부과하고 있다. 북한과 러시아는 모두 무기 거래를 부인해 왔다.
(责任编辑:자동차)
下一篇:윤 대통령, 엑스포 불발 1주만에 부산행 “지역현안 완벽 추진”
- ·[Today’s K
- ·Two dead in Gyeongju construction site collapse
- ·[이번 주 리뷰]北,군사위성 발사…정부 온라인 장애속출(20~25일)
- ·TBS appeals to Seoul to hold off on slashing support
- ·Koreans will 'freeze to death' for iced Americanos even in winter
- ·KB chief vows to nurture AI talents
- ·Gangnam teen investigated for assaulting deliveryman with golf club
- ·'12.12: The Day’ attracts 1.8m moviegoers in five days since opening
- ·[KH Explains] Banks, regulators trade blame for snowballing ELS losses
- ·Disability rights group lodges complaint with rights watchdog over leader's arrest
- ·Seoul shares start lower ahead of key rate decision
- ·Volvo EX30 debuts in Korea
- ·Seoul shares edge down amid US slowdown woes; won sharply down
- ·German envoy calls for enhanced security cooperation with S. Korea
- ·HiteJinro soju seeks bigger footing in UK
- ·Music industry seeks solution to ticket scalping through public discussion
- ·Seoul shares edge down amid US slowdown woes; won sharply down
- ·Samsung Biologics sees highest
- ·Born rich, promoted young: chaebol scions become president just after 40
- ·KT SAT to adopt Starlink for enhanced maritime internet
- ·YouTuber suspected of livestreaming after taking drugs
- ·KT SAT to adopt Starlink for enhanced maritime internet
- ·Court overturns ruling on fabricated asylum interview: report
- ·Jeju's autonomy is model for Western Sahara: Morocco
- ·Spike in camping enthusiasts in Korea, yet camping etiquette lags behind
- ·Hanwha Ocean developing submarine stealth technology
- ·Succession scheme taking shape at Lotte
- ·S. Korea's Busan making last